[뉴스특보] 어제 27명 신규확진…닷새만에 20명대로<br /><br /><br />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닷새 만에 20명대로 줄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사례가 지속되고 있어 방역당국이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자세한 소식,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어제 발생한 신규 확진자가 닷새 만에 다시 20명대로 감소했습니다. 특히 이 중 국내감염 사례는 15명으로 10명대로 줄어들었는데요. 부천 물류센터발 확산세가 다소 꺾였다고 봐도 되겠습니까?<br /><br /> 그런데 신규 확진자 27명 중 78%가 수도권 내 확진자입니다. 인구밀집도가 높은 수도권내에 확진자 비중이 여전히 높게 나타나고 있는 점은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현재로선 수도권 비중이 높습니다만, 언제든 다른 지역으로 전파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특히 군포에서 확진을 받은 40대 여성은 확진 전에 24명과 제주여행을 다녀왔고, 이 과정에서 34명과 접촉을 했다고 하는데요. 제주에서 추가 감염 사례가 나올 가능성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런가 하면 목동 학원가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. 학원을 다니던 양정고 학생의 가족이 확진을 받았는데요. 학생은 다행히 음성판정을 받았지만, 추가 양성 판정될 가능성도 있는데다, 이 학생의 경우 학교에 나가 수업도 받았다고 하거든요. 학원을 매개로 지역감염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 같아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또 다른 학원 집단감염 사례인 여의도 학원은 여전히 그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상황입니다. 쿠팡 물류센터발 감염으로 추정됐습니다만, 다른 가능성도 열려있는데요. 교수님은 이 사례의 감염원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고 있는 곳이 또 있죠. 바로 경기도 광주의 행복한요양원인데요. 이곳에서도 요양보호사를 비롯한 추가 감염이 계속되고 있는데 여전히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.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건, 언제든 조용한 전파가 이뤄질 수 있다는 의미 아니겠습니까?<br /><br /> 부산에서 확진을 받은 고3 학생의 감염 경로도 확인되지 않고 있는데요. 보건당국은 감염경로가 미궁에 빠지면 엄중한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게 보건당국의 판단입니다. 특히 3차 등교를 앞두고 있는 상황인 만큼, 학생·부모들의 불안감도 클 수밖에 없는데요. 이 사례는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날씨가 점차 더워지고 있는 만큼 학생들 마스크 착용 관리도 걱정입니다. 현재 '운동장 등 실외에서는 거리두기를 지키는 조건으로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'고 제시됐고, 그 판단은 교사들의 몫으로 돌아갔지만 선뜻 벗으라고 하기도 부담스러운 상황이거든요?<br /><br /> 방역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도 문제로 꼽힙니다. 교육당국이 순차등교에 대비해 학교에 방역 인력을 지원하기로 했지만 정작 일선 현장에선 인력 채용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. 이런 상황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종교 행사 등이 많은 주말인 만큼, 종교 사례도 안 짚어볼 수 없습니다. 오늘 개신교계가 신도들의 현장 예배 복귀를 선언하는 예배회복의 날 캠페인을 벌인다고 하는데요. 방역 지침을 지킨다지만 감염 확산 가능성도 걱정되는데요.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